실업급여 신청을 위한 필수 확인사항
실업급여를 신청하려면 우선 본인이 자격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기본적으로 총 근로일수 180일 이상이어야 하며, 비자발적 퇴사자여야 합니다. 근로일수는 한 직장뿐만 아니라 여러 직장의 근무기간을 합산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. 단, 퇴사일 기준 최근 1년 6개월 내 근무기간만 인정됩니다.
근로일수 확인 방법
일용직 근로자는 고용보험 토털 서비스에서 “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”를 통해 근로일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로그인 후 “고용”과 “일용”을 체크한 뒤 검색하면 근로이력이 조회됩니다. 상용직 근로자는 “고용보험 사이트”에서 이직확인서를 조회하면 피보험 단위 기간을 통해 근로일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직확인서 조회
상용직 근무자의 경우 퇴사 후 2주 이내에 회사가 이직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해당 서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조회할 수 있으며, 확인되지 않으면 회사에 요청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실업급여 수급 조건을 충족하는지 최종 점검할 수 있습니다.
—
실업급여 자격 요건 자세히 알아보기
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총 근로일수 180일 이상이라는 기준이 있습니다. 하지만 이 조건을 충족하는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근로 형태에 따라 구체적인 요건을 살펴봐야 합니다.
근로 형태 | 인정 방식 |
---|---|
상용직 | 한 직장에서 180일 이상 근무 |
일용직 | 여러 직장의 근무일수를 합산 가능 |
혼합 근무 | 상용직과 일용직 근로일수를 합산 가능 |
—
일용직 근로자의 실업급여 신청 방법
일용직 근로자는 실업급여 신청 전 고용보험 토털 서비스에서 본인의 근로이력을 조회해야 합니다.
1. 고용보험 토털 서비스 접속
2.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“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” 확인
3. 보험 구분에서 “고용”, 조회 구분에서 “일용” 선택 후 검색
4. 근로일수 확인 후, 최근 1년 6개월 내 근로일수 180일 충족 여부 검토
—
상용직 근로자의 실업급여 신청 방법
상용직 근로자는 이직확인서가 필수 서류입니다. 퇴사 후 2주 이내에 회사가 제출해야 하며, 제출 여부를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– 고용보험 사이트 접속 후 로그인
– “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” 메뉴 선택
– 피보험 단위 기간을 확인하여 근로일수 180일 충족 여부 확인
—